증권
올해 6조 몰렸는데…힘 못쓰는 채권혼합펀드
입력 2015-11-18 17:37 
올 들어 6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을 빨아들이며 '대세' 금융상품으로 떠오른 채권혼합형 펀드가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 주식과 채권 투자 비중을 섞는 자산 배분으로 변동성 장세에도 안정적으로 '금리+α'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 각광받았지만 조 단위 자금이 손실 구간에 묶여 있는 상황이다. 특히 최근 국내 주식시장 부진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채권가격 하락 위험은 앞으로 채권혼합형 펀드 수익률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18일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국내 설정된 182개 채권혼합형(설정액 50억원 이상, 대표펀드 기준) 펀드의 최근 6개월 수익률은 -1.08%에 그쳤다. 소규모펀드(설정액 50억원 이하)까지 더하면 수익률이 -2%대까지 떨어진다. 같은 기간 채권혼합형 펀드에 순유입된 3조8000억원 규모 자금이 은행 예·적금 이자만도 못한 성적표를 받아보고 있는 셈이다.
채권혼합형 펀드는 펀드 자산의 60~70%를 우량 국공채에, 나머지 30~40%를 주식으로 운용하는 금융상품이다. 올해 채권혼합형 펀드에는 5조5000억원이 순유입되는 등 성장세가 가팔랐다. 그러나 지난 5월을 기점으로 국내 증시가 변동성에 휘말리면서 주요 채권혼합형 펀드 수익률은 떨어지고 있다.
채권혼합형 펀드 중 설정액 규모가 가장 큰 'KB퇴직연금배당40(1조8394억원)' 6개월 수익률은 -3.22%, 'KB가치배당40(1조4000억원)'은 -3.56%로 부진하다.
채권혼합형 펀드가 장기 투자에 적합한 만큼 주식 부문에서의 수익률 저하는 점차 회복될 수 있다. 문제는 채권수익률이다. 미국이 조만간 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채권혼합형 펀드의 60% 이상 자산을 차지하는 국채 금리 하락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채종원 기자 / 이용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