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野 “민생도 살려야”…내주 ‘원내외투쟁’ 궤도수정할듯
입력 2015-11-05 13:42 

새정치민주연합은 국회 농성 나흘째인 5일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투쟁은 계속 벌여 나가되 조만간 국회 농성을 접고 국회에 복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의원총회와 전국 시도당-지역위원장 연석회의를 연달아 열어 장기전 양상을 보이는 국정 교과서 저지 투쟁의 지속적·효과적 추진을 위해 이같이 방향을 잡았다.
지난 2일부터 시작된 국회 보이콧이라는 ‘외통수 전략을 접고 국회로 회군해 원내외 병행 투쟁을 벌여나가기로 궤도를 수정한 것이다.
새정치연합의 국회 복귀시점은 내주초로 예상된다.

이는 국정교과서 저지 투쟁의 승부를 당장 판가름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국회 의사일정 참여를 계속 거부할 경우 ‘민생 외면이라는 여당의 공세 프레임에 갇히게 된다고 판단, 긴 호흡으로 대응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 또 예산안 심사나 총선 준비 등 정치일정을 감안할 때도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이 문제는 하루아침에 끝날 문제가 아니다. 그 긴 기간 역사국정교과서에만 매달릴 수도 없는 노릇이며 우리는 위기에 빠진 경제와 민생도 살려야 한다”며 국회 전면 거부에서 회군을 시사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우리는 국회를 마다할 수 없다. 민생도 챙기고 국론을 분열한 새누리당을 분명히 응징하고 그러고 난 다음에 가능성 있는 국회를 실제로 운영하겠다”고 가세했다.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CBS 라디오에 출연, 농성은 길게 가지 않고 주내로 마무리를 할 것 같다”며 최소한 1년은 이 문제를 갖고 야당이 면밀하게 절실하게 싸워야 된다”고 밝혔다.
또 교육부의 국정화 강행에 대해 4대강을 처리했던 MB정부의 자세, 국민을 무시하고 절차를 무시한 것과 너무 유사하기 때문에 교과서 4대강”이라고 비판했다.
의원총회에서는 구체적인 국회 복귀 시기를 원내지도부에 맡기는 등 지도부에 장기전략을 위임하기로 했다. 장기전에 대비해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별위원회를 최고위원이나 중진이 책임을 맡는 대책기구로 격상시킬 방침이다.
내년도 예산안 심의가 지연되는 것에 대한 부담도 감지된다.
국회 예결특위 야당 간사인 안민석 의원은 BBS 라디오에 출연, 국회는 국회대로 정상화 시키고 장외투쟁은 장외투쟁으로 하고 이후에 그런 투 트랙의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강한 야당 지도부의 모습을 보여줘야 됐다. 두 분(문재인·이종걸) 중 한 분은 삭발·단식 정도는 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다른 한편으로는 대규모 장외집회를 기획하는 등 강력한 투쟁 수위를 유지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오는 6일 서울 종로 보신각공원에서 전체 소속 의원과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국정화 저지 문화제를 한다.
이와 더불어 학계, 시민단체와 함께 1987년 6월 항쟁 당시 중추적 역할을 했던 ‘범국민운동본부를 모델로 삼은 공동투쟁기구를 이른 시일내 출범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일부 시민단체들이 처음부터 정당과 함께 하면 자칫 투쟁이 정치화할 것을 우려해 참여를 꺼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시민사회가 먼저 투쟁기구를 구성하면 이후 새정치연합이 합류해 후방 지원역할을 하는 방안을 구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