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STX조선 인력·설비 30% 줄인다
입력 2015-10-21 17:33  | 수정 2015-10-21 23:30
3조원대 부실 사태를 빚은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논의가 한창인 가운데, 산업은행이 또 다른 부실 조선사인 STX조선에 대해 30% 이상의 인력·설비 감축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슬림화 작업에 착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이날 STX조선해양에 대한 중간 실사결과를 점검하고 인력과 설비를 30% 이상 감축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은 STX조선에 총 4조5000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했지만 올해 상반기 기준 STX조선 자본총계는 -1조8945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산업은행은 STX조선에 대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신청도 검토해왔지만 건조 중인 선박에 대한 선수금 환급 문제로 법정관리 카드는 일단 보류한 상태다. 산업은행은 내년 상반기까지 정상화 가능성이 보이지 않을 경우 법정관리도 불사한다는 방침이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아직 중간실사 결과만 나온 단계로 정확한 실사 결과가 11월 중순 나오면 회사 측과 논의해 구조조정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는 23일 발표되는 대우조선해양 정상화 방안의 큰 틀은 '선(先) 유동성 공급, 후(後) 자본 확충'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해양 주채권은행 산업은행을 포함한 채권단은 우선 신규대출을 통해 부족자금을 공급한 뒤 자본 확충은 차후 회사 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자본 확충 방식으로는 추가 현금이 투입되는 '유상증자'보다 채권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출자전환' 방식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채권단이 당장 자본금을 늘릴 수 있는 유상증자가 아닌 출자전환 방식으로 가닥을 잡은 것은 부채비율을 떨어뜨리는 것이 시급한 문제는 아니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채비율이 높아질 경우 회사채 투자자들이 원금 조기상환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어 채권단이 곧바로 유상증자에 나설 것으로 전망해 왔다. 그러나 채권단은 만기 상환은 보장하되 투자자들이 조기상환을 요청할 시에는 자금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기본 방침을 정해 조기상환 움직임을 최대한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부채비율이 높아질 경우 발주처에서 신규 수주를 꺼리는 등 영업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그러나 이번 부실사태가 주로 해양플랜트 저가수주에서 불거진 만큼 대우조선해양은 강점이 있는 상선 건조 등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수주 물량을 정리·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옥포조선소가 기존 수주물량조차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과도한 영업활동을 펼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정석우 기자 /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