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한국인 삶의 만족도, OECD 최하위권…사회연계 점수 낮아 '의지할 곳 없어'
입력 2015-10-19 11:29 
한국인 삶의 만족도/사진=연합뉴스
한국인 삶의 만족도, OECD 최하위권…사회연계 점수 낮아 '의지할 곳 없어'



한국인들의 삶의 질이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거의 최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OECD의 '2015 삶의 질(How's life?)'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이 평가한 삶의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80점으로 OECD 평균(6.58점)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27위에 해당합니다.

삶의 만족도는 나이가 들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29세의 만족도(6.32점)는 50대 이상(5.33점) 점수보다 1점가량 높았다. 30∼49세의 만족도 점수는 3개 세대의 중간인 6.00점이었습니다.


그러나 한국 어린이가 처한 환경이 좋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한국 어린이들이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은 하루 48분으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짧았으며, 15∼19세에 학교를 다니지 않고 취업도 않고 훈련도 받지 않는 방치된 비율도 9번째로 높았기 때문입니다.

대신 학업성취도 면에서 한국 학생들의 순위는 높았다. 15세 이상의 읽기능력은 2위, 컴퓨터 기반 문제 해결 능력은 1위였습니다. 한국 학생들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좋은 일이지만 과도한 경쟁이 빚어낸 결과라는 해석도 가능합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최성근 연구위원은 "사교육에 들어가는 돈이 많고 학력 지상주의에 지나치게 몰입된 사회가 한국"이라며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신뢰가 깨지고 건전한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온 이유는 사회 연계와 건강만족도, 안전 등의 항목에서 점수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어려울 때 의지할 친구나 친척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사회연계지원 점수'는 지난해 72.37점으로 OECD(88.02점) 평균에 크게 못 미친 것은 물론 회원국 중 가장 낮았으며, 건강 만족도 역시 2013년 35.1점으로 2009년(44.8점)보다 후퇴했습니다. 또 밤에 혼자 있을 때 안전하다고 느끼는 정도 역시 한국(61점) 순위가 28위로 하위권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정신적인 삶은 피폐한 것에 비해 물질적인 토대는 세계 금융위기 이후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의 가구당 순가처분소득은 2013년 기준 2만270 달러로 금융위기 여파로 휘청거린 2009년보다 12.28% 상승했습니다. 한국의 상승률은 집계가 있는 OECD 29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습니다.

OECD는 "한국은 2009년 이후 가계 수입·금융 자산·고용의 증가, 장기 실업률 감소 등 대부분의 물질적 웰빙 지수가 좋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OECD에는 저성장기에 진입한 선진국은 물론 재정위기로 타격을 받은 유럽 국가들이 많아 한국이 금융위기 이후 물질적 지수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