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산업부 선진 통상포럼…기후변화 이슈·대응방안 모색
입력 2015-09-23 09:57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서울 삼성동 라마다호텔에서 문재도 2차관과 안세영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이사장 주재로 ‘제27차 선진 통상 포럼을 열고 기후변화 협약의 주요 이슈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업과 통상 간 연계 강화를 위해 2013년 신설된 선진 통상 포럼은 주요 통상 현안에 대한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정부의 통상 정책 수립 지원 기능을 수행한다.
포럼 참석자들은 오는 11월 30일~12월 11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21차 기후변화 당사국총회에서 신(新)기후체제 협정문 타결을 앞두고 주요 쟁점과 전망, 산업계의 대응 전략 등을 점검했다.
참석자들은 기후변화 협상에서 개도국 재정지원 문제 등으로 선진·개도국간 대립이 여전히 지속하고 있으나 전세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70%를 차지하는 60여개국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출하는 등 긍정적 협상 타결 모멘텀이 형성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신기후체제는 각 국가가 제출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 이행을 철저히 점검·검토하는 체제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우리 정부도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온실가스 감축 목표 로드맵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연말 파리 협정이 타결되면 2012년 제1차 교토의정서 종료 후 부재했던 전 세계적 기후 체제가 새로 만들어지고 신 기후시장이 열릴 것에 대비해 국가 차원의 신시장 선점 전략과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한 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 마련 필요성도 제기됐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