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이후에도 재건축이 진행되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전월세난도 심화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내집 마련을 고민한다면 집값 하락 시기를 기다리기보다는 서두르는게 낫다는 진단을 내놨다.
6일 매일경제신문이 부동산 전문가 30인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한 결과 추석 이후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80%에 달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집값이 보합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내다보는 전문가는 20%에 달했지만 하락을 예상하는 전문가는 아무도 없었다. 지난주 정부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강화 방안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앞으로 전·월세난과 집값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추석 이후 부동산시장 변수로는 미국발 금리인상(34%)과 국내외 거시경제(23%), 불안한 전세시장(14%), 가계부채(11%), 정부정책(11%), 미분양증가(8%) 순으로 중요하게 거론됐다. 특히 올해 분양이 집중되며 신규 아파트 입주 시기인 2017년 가격 하락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그러나 부동산 전문가 대부분은 2년 후에도 서울을 여전히 공급이 부족한 상태인 반면, 지방은 공급 과잉이 염려된다고 답했다.
오는 2017년에도 서울의 주택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가 57%에 달해 공급이 적정 수준(33%)이라거나 공급과잉이 우려된다(10%)는 의견을 크게 앞질렀다.
지역별 전망의 편차는 컸다. 수도권에 대해서는 60%가 공급과잉이 염려된다고 답했고, 30%가 적정 수준, 10%가 공급 부족을 예상했다. 그러나 지방에 대해서는 무려 87%에 달하는 전문가들이 공급과잉을 염려했고, 적정 수준(10%)이나 공급부족(3%) 의견은 소수에 불과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차장은 수도권은 가을 위례를 시작으로 2기 신도시 입주와 공급이 속속 진행될 예정이어서 일시적인 역전세난과 초기 입주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다”며 그나마 서울 강남권 재건축 이주 멸실과 입주 시기가 다소 겹치면서 공급 부담을 덜어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추석 이후 집값 상승세가 뚜렷할 것으로 보이는 지역으로는 전문가의 66%가 서울 강남을 꼽았다. 서울 강북(21%)과 부산 등 광역시(10%), 경기 남부(3%)가 그 뒤를 이었다. 경기북부와 인천, 세종시 등 충청권을 포함한 나머지 지역은 전혀 지목되지 않았다.
서울 강남지역은 노후 아파트 재건축이 본격화하고 이에 따른 이주와 주택 멸실이 진행되면서 전월세 가격은 물론 주택 가격 상승세도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승철 유안타증권 부동산컨설턴트는 강남 집값 상승 원인에 대해 강남 핵심권역 재건축 아파트는 대기 수요가 많고 교육·교통·편의시설 등 입지환경이 다른 지역보다 우월하다”고 진단했다. 특히 강남재건축은 상승세(73%)를 이어가거나 보합세(27%)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실장은 ”한강개발이나 한전 땅 및 고속철도(KTX) 연계 등 개발과 재건축 기대감이 여전하다고 말했다.
추석 이후 전세시장에 대해서는 강세를 내다보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강세(70%)와 초강세(27%) 전망이 몰릴 정도로 전세시장 강세를 점치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보합 전망은 3%에 불과했고 하락 전망은 전무했다. 이는 주택 임대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93%에 달한 것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 월세전환이 더딜 것이란 답은 7%에 불과했다.
절반 이상(53%)의 부동산 전문가들이 실수요자라면 추석 이전에 최대한 빨리 주택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추석 이후라도 연내에 집을 장만하라는 응답이 13%에 달했다. 그러나 당분간 주택구매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은 17%에 달했다. 당분간 주택구매를 반대하는 전문가들은 올들어 집값 상승세가 가팔랐던 게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내년 상반기와 하반기를 매수 시점으로 꼽은 전문가는 각각 10%, 7%에 달했다.
바람직한 내 집 마련 방식에 대해서는 신규 분양을 가장 많이(63%) 추천했다. 내년부터 대출 규제 가 시작되는 기존 아파트 급매를 잡으라는 의견도 27%에 달했다. 일부 전문가는 미분양 아파트(7%)와 경매(3%)도 꼽았다 . 전문가들은 10년내 부촌으로 부상할 지역으로 서초구 반포동을 63%로 가장 많이 꼽았고 압구정동(16%), 개포동(6%), 대치동(3%), 잠실동(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강북에서는 용산구 이촌동(6%)과 한남동(3%)만 지목됐다.
[이한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