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中企대출 급증…상반기만 작년 총액 육박
입력 2015-07-14 17:55 
올해 들어 은행들이 앞다퉈 중소기업 대출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설비투자 용도가 아닌 단순 운전자금용 대출 위주로 늘어나고 있어 대출 부실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매일경제신문이 은행권의 중기대출 실적을 집계한 결과 올해 6월 말 기준 중기대출 총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총 31조9000억원 늘어난 538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 6개월간 중기대출 증가 규모는 지난해 전체 증가 규모인 33조5000억원에 이미 근접한 상태다.
은행별로는 기업은행이 6조2445억원 늘어나 순증액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실제로 대출 증가를 주도한 것은 지난해 말 은행장이 교체된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었다.
KB국민은행의 경우 지난해 중기대출 순증액이 7731억원에 그쳤지만 올해는 4조2139억원으로 6배 가까이 급증했다. 우리은행도 지난해 2조4598억원에서 3조9306억원으로 1.5배가량 늘었다. 금융권 관계자는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광구 우리은행장이 중기대출 실적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두 은행이 최근 우량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공격적으로 대출영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중기대출 증가에는 물론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 담보가 상대적으로 적은 벤처기업들이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은행 역시 대기업에 집중된 대출을 분산하면서 부실대출 리스크를 낮출 수 있다.
문제는 현재 중소기업들이 빌리는 자금이 상당 부분 설비투자용이 아닌 단순 운전자금용이라는 것이다. 올해 5월 한국은행 집계 기준 중소기업 운전자금 대출 비중은 59%로 시설자금(41%)보다 월등히 많다.
산업은행이 지난달 국내 25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비투자계획 조사에 따르면 올해 중소기업 설비투자 규모는 6조1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1.0%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기업들이 장기 투자가 아니라 당장 급한 불을 끄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돈을 빌리고 있다는 의미다.
단순 운전자금용 대출을 늘리는 것은 장기적으로 은행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계구입 등 사용 목적이 확실한 설비투자와 달리 운전자금의 경우 대출 시 별도의 용도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아 리스크 관리가 어렵다.
실제로 과거에도 중기대출 시장 과열 이후 은행권 부실 리스크가 높아졌던 전례가 있다.
2006년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강화한 후 시중은행들은 일제히 중기 대출 시장에 뛰어들었다. 2007년 당시 은행권의 중기 대출 증가 규모는 68조원을 넘었다. 2010년 유로존 금융위기가 도래하면서 거품은 꺼지고 부실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이후 은행들은 중기 대출시장에서 한꺼번에 등을 돌리면서 2012년 중기 대출 증가 규모가 6조원에 못 미쳤다. 배현기 하나금융연구소장은 "전체 경기가 불황인 상태에서 중기 대출만 늘어나는 것은 장기적으로 은행권 부실을 확대할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