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같은 문구 다른 해석…외교부 헛발질?
입력 2015-07-06 19:40  | 수정 2015-07-06 20:16
【 앵커멘트 】
한국은 강제노역이 맞다, 일본은 아니라고 말하는 해석차이는 도대체 어디서 비롯됐는지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 외교당국은 애초 이런 사태를 예견하지 못했던 걸까요?
김민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 기자 】
한·일 양국은 애초 사토 주 유네스코 일본 대사의 발언을 등재 결정문에 넣기로 합의했습니다.

▶ 인터뷰 : 사토 구니 / 주 유네스코 일본 대사
-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동원되어 가혹한 조건하에서 강제로 노역했으며…."

얼핏 강제노역을 인정한 듯하지만, 동일한 영어표기를 일본 정부는 다르게 받아들였습니다.

한국 정부는 '강제노역'이라고 파악한 문구를 두고, 일본 측은 단순히 "일하게 됐다"라는 수동형으로 해석한 겁니다.

우리 정부는 논란이 된 문구가 애초 국제 기준에 맞는 표현이라는 입장입니다.

1946년 뉘른베르크 국제전범재판소 판결문이나, 국제노동기구 ILO에서도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라는 겁니다.


따라서 일본이 자국 내 보수진영의 반발을 잠재우려고 '강제노역' 발언을 의도적으로 번복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외교 당국의 성급한 대처에도 질타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윤병세 / 외교장관
- "정상외교, 외교장관회담, 의원외교, 국제사회와의 공조 등 우리의 전방위적인 외교 노력이 이루어낸 값진 성과라고 생각합니다."

세계유산회의가 하루 미뤄지는 등 협상이 막판까지 난항에 부딪히면서 외교부가 '자화자찬'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김민혁입니다.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영상편집 : 윤 진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