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승민 결단만 기다리는 與…'명예 퇴진론' 부상
입력 2015-06-30 12:21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가 자신의 거취를 놓고 장고에 들어가면서 여권의 뇌관으로 떠오른 '유승민 사퇴 논란'이 외견상 소강 국면을 맞고 있습니다.

유 원내대표는 30일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고 다음 달 1일 예정된 추가경정예산 편성 당정협의도 주재하기로 하는 등 정상적으로 당무를 집행했습니다.

유 원내대표는 전날 열린 긴급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실상 최고위원 전원이 사퇴의 불가피성을 거론했음에도 "잘 생각해보겠다"며 즉각적인 사퇴는 거부했습니다.

유 원내대표의 고심이 당장 결과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작아 보이는데다 사퇴를 요구하는 친박(친박근혜)계에서도 유 원내대표에게 시간을 주자는 의견이 나오는 만큼 당분간 '폭풍 전야'처럼 고요하지만 긴장감 흐르는 시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친박계는 최고위원회를 통해 유 원내대표를 끌어내리려던 시도가 무산되자 이날은 일단 목소리를 낮추고 상황을 관망했습니다.

이장우 의원은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유 원내대표에게 시간을 줘야 한다"며 스스로 사퇴할 때까지 여유를 주고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비박(비박근혜)계 역시 박민식·황영철 의원 등 일부 재선 의원들이 산발적으로 사퇴 불가 목소리를 냈을뿐 집단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한 비박계 중진은 "오늘은 일단 돌아가는 사태를 지켜보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유 원내대표가 심사숙고 끝에 자진 사퇴를 선택할지, 아니면 임기를 채우겠다는 의지를 보일지 확실치 않은 상황이지만, 당내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결국 사퇴할 수밖에 없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캐스팅 보트'를 쥔 것으로 평가되는 김무성 대표가 소속 의원 30여 명을 모아놓고 유 원내대표의 '명예 퇴진'에 무게를 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을 해 주목됩니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통일경제교실' 모임 직후 소속 의원 30여명과 간담회를 열어 "대통령을 유 원내대표가 이길 수는 없고, 유 원내대표를 배신자로 낙인 찍어서 내보내는 것 또한 동료로서 할 도리가 아니다"라면서 "유 원내대표가 명예회복을 하면서 본인 스스로 결단을 내리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당 안팎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다음 달 6일 열리는 국회 본회의에서 이번 사태의 발단이 된 국회법 개정안이 상정됐다가 자동 폐기 수순을 밟는 것이 확정되면 본회의 발언을 신청해 사퇴를 선언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도 유 원내대표의 거취나 당의 내홍 사태에 대해서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거리를 뒀습니다.

청와대 참모들 역시 여당의 내부 상황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켰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공이 당으로 넘어갔으니 모든 것은 당에서 알아서 할 일이고, 청와대는 그쪽(당)의 선택과 결단을 당분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