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고용장관 “메르스 격리자, 유급휴가 추진”
입력 2015-06-08 15:26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8일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 격리자가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메르스 격리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들이 생계와 관련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메르스 격리자에 대한 유급휴가 부여를 적극 권고하겠다”고 말했다.
메르스 때문에 보건당국에서 격리조치를 받은 사람은 이날 현재 총 2508명으로 하루 전보다 147명 늘었다. 이와 관련, 고용부는 5일 각 지방관서에 근로자 건강과 안전 확보를 위한 메르스 대응 지침을 내려보냈다.
이 장관은 대기업 근로자는 임금단체협상 등에 따라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겠지만, 중소기업은 유급휴가 규정이 없을 수도 있다”며 메르스가 사업장에서 확산되지 않도록 방지하자는 차원에서라도 메르스 격리자가 모두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실업급여 수급자는 적극적인 재취업 활동을 하거나 직업훈련을 받아야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지만, 메르스 확산을 감안해 직업훈련 등을 받지 않더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메르스 환자를 치료하다가 메르스에 감염된 의사나 환자 등은 산업재해 인정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이 장관은 엔저에 이어 메르스 확산 등으로 국내 경제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노동계도 대규모 집회나 총파업 등을 자제해 노사가 힘을 모아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동시장 구조개혁과 관련해서는 17일 경제관계장관회의 후 구체적인 추진 일정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노동시장 구조개혁의 기본 정신은 장년과 청년, 대기업과 협력업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상생고용 실현”이라며 임금피크제와 관련된 취업규칙 가이드라인 추진도 상생고용의 실현을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용부가 지난해 7571개 사업장을 분석한 결과 713개 사업장에서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이 장관은 대기업은 23% 정도 임금피크제를 도입했으며, 5대 그룹 계열사는 50% 이상 도입했다”며 나머지 기업에도 임금피크제가 확산할 수 있도록 다음 주까지 노동계와 학계 등 의견을 수렴해 이달 내 관련 취업규칙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임금피크제 취업규칙 지침과 함께 이달 내 인문계 대졸자 취업 지원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