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메르스 3차감염자 발생, 백신 개발까지 얼마나 걸리나 보니?…최소 1년
입력 2015-06-02 16:48 
사진=MBN
메르스 3차감염자 발생, 백신 개발까지 얼마나 걸리나 보니?…최소 1년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 중 추가로 1명이 사망하면서 총 2명이 숨졌습니다. 또 3차 감염자도 발생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2일 보건복지부는 "전날 기준으로 밤사이 메르스 환자가 총 25명으로 늘었으며, 이중 6번째 환자와 25번째 환자가 사망했다"고 전했습니다.

25번째 환자 A(57)씨는 지난달 11일부터 천식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의 증세로 입원치료 중이었습니다. A씨는 해당 병원에서 같은 달 15~17일 사이 최초 발병 환자를 접촉, 이후 치료를 받던 중 결국 사망했습니다.

한편 6번째 환자 B(71)씨는 지난 28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뒤,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에서 격리 치료를 받던 도중 사망했습니다. B씨 주치의는 "사망자의 기저질환이 면역력 약화 및 호흡기 질환의 발병과 관계가 있으며, 메르스 감염 후 임상 경과 악화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이날 메르스 3차 감염자가 최초로 발생했습니다. 추가 감염자는 모두 6명으로, 이들 중 4명은 2차 감염자로 위의 병원에서 첫 번째 환자와 같은 병동에 입원한 환자 혹은 가족입니다. 나머지 2명은 3차 감염자로, 또다른 병원의 16번째 2차 감염 환자와 지난달 28~30일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환자들입니다.

이에 보건 당국은 의료계에 메르스를 전파시킨 병원을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보건복지부는 2일 브리핑을 통해 "의료인들이 격리 대상자 명단과 메르스 발생 의료기관 이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DB)화 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복지부는 이어 "의료기관 이름을 잘못 공개했을 경우 오해를 받거나 과도한 불안감이 생길 수 있어 전체 공개보다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인에 한해 가동할 것"이라며 "훨씬 주의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덧붙여 "아직까지는 (메르스가) 관리망 안에 있고, 지역사회로의 전파 위험은 절대 없다. 의료기관 내 감염이 머무르고 있는 상태로 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메르스 백신 개발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일 제약업계 등의 설명에 의하면 현재 메르스 환자에 대해서 항바이러스제인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을 함께 투여하는 약물 치료를 진행하고 있지만 뚜렷한 성과가 없습니다.

특히 메르스는 임상연구가 어려워 백신 개발에 1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외 백신전문매체에 따르면 백신 개발에 수년에서 길게는 10년 이상이 걸릴 수도 있다는 설명입니다.

진원생명과학 연구소장 정문섭 씨는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에볼라 백신을 개발하는데 1~2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 만큼 메르스 백신도 그 정도의 개발 기간을 예상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