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6·15 남북공동행사 사실상 무산…분산 개최될 듯
입력 2015-06-02 12:06  | 수정 2015-06-02 14:03
남북 민간단체가 추진하던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기념 공동행사가 사실상 무산돼 예년처럼 남한과 북한에서 각기 6·15 기념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보입니다.

'6·15 공동선언 15돌·조국해방 70돌 민족공동행사 북측 준비위원회'는 지난 1일 '광복 70돌·6·15 공동선언 15돌 민족공동행사 남측 준비위원회'에 6·15 행사를 각자 분산 개최하자는 서신을 보내왔다고 남측 준비위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밝혔습니다.

북측 준비위는 팩스로 보낸 서신을 통해 "남측 당국이 6·15 공동행사에 대해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경우에 허용할 것'이라는 전제조건을 달면서 6·15 민족공동행사를 서울에서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을 아직까지도 밝히지 않고 있다"며 우리 정부를 비난했습니다.

북측 준비위는 또한 "남측 당국의 근본 입장에 변화가 없는 한 행사 준비를 위한 실무접촉을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좋은 결실을 가져올 수 없을 것"이라며 "이런 점을 고려해 6·15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를 불가피하게 각기 분산개최하자"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앞서 남북 준비위는 지난달 5∼7일 중국 선양(沈陽)에서 사전 접촉을 하고 6·15 공동행사를 이달 14~16일 서울에서 개최하자고 잠정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남측 준비위는 개성에서 6·15 공동행사를 위한 실무협의를 갖자고 지난달 14일 제안했지만 북측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어 같은 달 26일 "북측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접촉을 하자"며 실무접촉을 다시 제안했지만 북측은 역시 응하지 않았습니다.

6·15 공동행사를 코앞에 둔 상황에서 북측이 실무접촉에는 응하지 않고 분산 개최 의견을 제시함에 따라 6·15 공동행사는 사실상 개최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남측 준비위는 6·15 공동행사 개최를 위해 마지막까지 노력한다는 입장입니다.

이승환 남측 준비위 대변인은 "북측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민족공동행사 성사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한 당국이 정치색 배제를 주장하고 개최 장소에 대해 불명확한 태도를 보여 공동행사 개최가 어렵게 됐다는 취지로 북측이 서신을 보낸 것과 관련 "우리 정부는 남북관계 발전이나 민족 동질성 회복 차원에서 순수한 사회문화교류는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는 "광복 70주년을 계기로 민족 동질성 회복 등에 기여하는 남북 공동행사에 북한이 보다 진정성을 갖고 응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