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상인부터 살리자” 부산서 금연거리 첫 취소
입력 2015-05-26 11:17 

‘보행자 건강이 먼저냐, 상인들 영업이 우선이냐
전국 기초자치단체들의 금연거리 지정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부산에서 처음으로 상인들의 반발로 금연거리 지정 취소 결정이 내려져 주목된다.
26일 부산진구에 따르면 서면메디컬스트리트 700m 구간이 최근 금연거리로 지정 고시됐다. 당초 서면 영광도서 일대 문화로 399m 구간도 금연거리로 지정할 계획이었지만 공청회를 개최한 결과 상인들의 강력한 반대로 문화로는 금연거리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문화로 인근 상인들은 이 일대가 금연거리로 지정되면 가뜩이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대 상권이 고사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상인 김모 씨(49)는 올해 1월부터 금연구역 확대로 음식점 등에서 내부 흡연이 안되면서 흡연자들이 바깥에서 담배를 피우는데 거리 전체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면 손님이 대폭 줄어들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금연거리 지정 취소는 시민들의 의견을 무시한 처사라는 비난이 나오고 있다. 부산진구가 지난 2월부터 두 달 동안 온·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온라인에서는 482명(94.3%)이 금연거리 지정에 찬성했으며, 부산진구 주민은 총 1061명 중 900명(84.8%)이 찬성에 손을 들었기 때문이다.
부산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민 의견을 반영하지 않을거면 부산진구가 왜 설문조사를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간접흡연으로 보행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담배꽁초 등으로 거리가 더럽혀지기 때문에 쾌적한 보행 환경을 위해서는 금연거리로 지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부산진구 관계자는 일단 메디컬스트리트에 금연거리를 시행한 후 상인들과 시민들의 반응을 지켜보면서 다른 지역으로 금연거리확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며 흡연을 즐기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고 있는 것도 금연거리 지정을 선뜻 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국내 대표적인 금연거리는 서울 강남대로로 지난 2012년 3월 서초구가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지정했다. 서초구는 지난 3월 이 금연거리를 555m 늘여 총 1489m로 확대했다.
부산의 경우 사상구가 지역 최초로 2012년 4월 사상구청 앞 거리를 금연거리로 지정한데 이어 7월에는 서부시외버스터미널과 터미널 인근 애플아울렛 광장 등을 금연거리로 지정했다. 부산의 대표적 관광명소인 중구 광복로도 지난해 9월부터 금연거리로 운영되고 있다.
경기 군포시도 지난 2월 대표적 상업지역인 산본로데오거리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했으며, 구리시도 최근 유동인구가 많은 거리 두 곳을 금연거리로 지정 고시하고 오는 9월부터 단속할 예정이다.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