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상승을 예상하는 소비자들이 작년보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부동산3법(재건축초과이익환수 유예,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폐지, 재건축조합원 3주택 분양 허용)이 국회를 통과한 후 소비자들의 부동산투자심리가 개선된 영향이다. 초저금리기조와 전세 거주자들의 매매전환 수요까지 겹쳐 주택가격전망 지수가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114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성인남녀 3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상반기 주택거래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재 거주하는 주택의 6개월 뒤 매매가격을 평가하는 ‘주택가격전망지수가 124.9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2011년 1분기(133.8)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작년 상반기(111.7)와 하반기(119.3)와 비교해도 집값 상승을 예측하는 소비자가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주택가격지수는 부동산114가 2007년부터 주택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주택시장에 대한 인식과 미래 전망 등을 6개월마다 설문조사한 후 그 결과를 지수화한 지표로 100을 넘으면 주택가격 상승을 예측한 응답자가 많다는 걸 의미한다. 이 지수는 지난 2011년 1분기 133.8을 기록한 후 내리막길을 걷다가 2013년 100을 넘어서며 서서히 회복돼왔다.
또 현재 거주 중인 주택가격을 6개월전과 비교해 평가하는 ‘주택가격평가지수도 124.4로 집계돼 2009년 이후 가장 높았다. 6개월보다 내 집값이 뛰었다고 인식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주택가격전망·평가지수가 상승한 요인에는 정부의 규제완화가 한 몫 한 것으로 파악됐다.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정책이 귀하의 주택거래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 10명 중 6명은 ‘영향 있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는 응답자 47.6%가 정부의 저리대출지원정책을 꼽아 비중이 가장 높았고 부동산3법 통과가 31.6%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반면 청약간소화(7.3%)나 재건축규제합리화(6.8%)는 소비자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매매 거래량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전세가격 급등에 의한 실수요자 매수 전환(56.6%)이 꼽혔다. 또 응답자의 29.5%가 지속적인 금리 인하를 골라 저금리에 따른 레버리지(지렛대) 효과도 주택매매 거래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윤지해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높아진 전세가격이 주택매매가격을 추가로 밀어 올리는 현상이 하반기까지는 이어질 전망”이라며 하반기에 전세시장을 이탈해 매매로 갈아타는 수요가 늘어나 반작용으로 전세시장이 안정될 가능성도 내비쳤다.
[신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