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메기, 해독, 넙치(가자미), 틸라피아, 굴, 조개, 가리비 넙치, (농어류의 일종)오우션퍼어치, 숭어, 홍합, 오징어, 빙어, 수컷연어, 연어,게(집게와 다리), 고등어, 멸치, 청어, 무지개송어, 정어리, 게(몸통), 대구간유 등은 DHA 및 EPA 함량이 높다.
그러나 청새치, 눈다랑어, 상어, 왕고등어, 금눈돔, 태평양참다랑어, 황새치 등은 수은 농도가 높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위험하다.
고려대 의과대 가정의학교실 주최로 열린 세미나에서 하버드대보건대학원 로즈골드먼(Rose H. Goldman) 교수는 ‘생선섭취와 체내 수은축적과의 관련성 및 ‘대기 환경의 라돈을 주제로 강연하면서 영양가가 높고 수은농도가 적은 생선을 선택하여 영양 섭취의 이득과 수은의 체내축척의 부작용을 고려한 최적점을 찾으라”고 23일 밝혔다.
로즈골드먼 교수는 우리가 먹는 생선에는 오메가3나 DHA, EPA 등의 좋은 성분이 들어 있지만 수은도 포함되어 있다. 수은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중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 몸에 축적되는 메틸화수은으로, 이로 인해 잘 알려진 질병에는 미나마타병이 있다. 축적되는 과정은 대부분의 화석연료에서 공기를 통해 물로 전달되며 수중박테리아를 통해 작은 물고기에서 상어와 고래와 같은 큰 물고기로 전달된다” 고 말했다.
이 메틸화수은은 신경독성으로 미나마타병의 경우 실조증, 진전, 시야좁아짐, 대뇌피질 및 소뇌의 위축을 일으킨다. 이러한 신경독성의 문턱 값(Threshold)은 50-200ugHg/L이며, 이는 모체보다 태아에 훨씬 민감하다. 참다랑어에는 태아 영양에 도움이 되는 2,500gm의 긴사슬 오메가3와 0.01gm의 메틸화수은 독성이 포함돼 있다.
로즈골드먼 교수는 세이셜 섬 연구에서 800여 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모발수은을 측정해 정상 결과가 나왔으며, 아일랜드 연구에서는 1000여명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대혈과 모발수은을 연구한 결과로 메틸화수은 농도와 관련성이 있는 것을 밝혔다”며 이러한 차이는 해수 종류 및 해역 위치에 따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과학적 연구에 의해 여성이 섭취 가능한 수은의 커트라인은 RfD(Reference dose) 0.1ug/kg/d 이다. 이 이하로 섭취하면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로즈골드먼 교수는 라돈은 우라늄, 토륨의 자연적인 분해로부터 나오는 가스로 바위 혹은 흙에서 많이 나오는 물질로 집의 창틀, 지하실 갈라진 틈을 통해 집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 라돈 가스는 방사성물질로 폐암을 일으키며 미국의 한해 1만 5000명에서 2만 명의 폐암 사망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는 비흡연자의 폐암 주요 위험요인”이라고 말햇다.
그는 환기를 잘 시키지 않는 겨울철에 라돈 농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되어 있어 문을 열어 자주 환기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