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 출시 1년만에 3조5000억
입력 2015-04-19 17:18  | 수정 2015-04-20 10:53
공모주 우선 배정으로 인기를 끈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가 출시 1년 만에 설정잔액 3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대다수 펀드가 공모주 효과로 최근 6개월간 두 자릿수 수익률을 올리면서다. 펀드 흥행으로 하이일드채 시장은 1조원이 넘는 수요가 발생하면서 어느 때보다 활기가 돌고 있다.
1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의 설정잔액은 3조5200억원이다. 유형별로는 사모형이 2조30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공모펀드 6000억원, 일임형 계좌 5000억원, 신탁계좌 1000억원가량으로 집계됐다.
비우량채권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는 BBB+ 등급 이하 회사채에 30% 이상 투자하면 공모주 발행물량의 10%를 펀드에 우선배정해주고, 투자자별로 5000만원까지 분리과세 혜택을 준다. 투자 대상이 코넥스 주식과 A3+ 등급 이하 전자단기사채 등으로 확대되면서 운용 전략의 폭도 넓어졌다.

하이일드펀드가 큰 흥행을 기록하는 것은 공모주 우선배정의 효과다. 지난해 삼성SDS·제일모직 등 초대형 기업공개(IPO)에서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가 일반투자자보다 공모주를 3~5배 더 많이 가져가면서 공모주 투자 수요가 몰린 것. 전체 펀드의 설정잔액이 1조원을 넘어선 때도 쿠쿠전자 상장을 앞둔 지난해 8월이었다.
공모주 효과로 수익률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공모펀드 중 설정액이 가장 많은 '흥국분리과세하이일드증권투자신탁[채권혼합]A'는 최근 6개월간 11.04%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사모펀드와 일임형 계좌 중에서는 같은 기간 20% 안팎의 수익률을 거둔 상품도 있다.
김형호 한국채권투자자문 대표는 "하이일드채 운용과 더불어 공모주 투자로 높은 수익률을 올리면서 최근 가장 성공한 정책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며 "펀드 성장으로 하이일드채 시장도 BBB+ 등급에서 BBB 등급까지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로만 1조원이 넘는 하이일드채 투자 수요가 생기면서 '동양사태' 이후 얼어붙은 하이일드채권 시장은 급속히 회복되고 있다.
하이일드펀드가 나온 지난해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BBB+ 등급 이하 회사채(공·사모 포함)는 총 1조9200억원 발행됐다. 분기별 발행금액도 4000억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4분기에는 5980억원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2조7000억원어치가 발행된 2013년과 비교하면 아직 적지만 동양사태 직후인 지난해 1분기 1430억원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빠르게 제자리를 찾고 있다.
하이일드채권에 대한 시장 수요를 방증하는 수요예측 참여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BBB+ 등급 이하 회사채 수요예측 참여율은 40.8%로 전년 대비 30.6%포인트 올랐다. 지난달에는 216.7%의 참여율을 기록해 우량등급(AA급 이상)과 역전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2013년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전량 미달했던 이랜드월드는 지난해 수요예측에서 기관투자가 참여율 90%를 기록했다. AJ네트웍스(137%) 쌍용양회공업(133%) 등 수요가 모집금액을 넘어선 사례도 나타났다.
올해에도 제주항공·이노션·티브로드·LIG넥스원 등 1조원이 넘는 대형 IPO가 줄줄이 예정돼 있어 분리과세 하이일드펀드의 인기는 날이 갈수록 높아질 전망이다. 올해부터는 하이일드채권 비중이 높거나 코넥스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는 공모주를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된다.
금융투자협회는 하이일드채권에 50% 이상 투자하거나 코넥스 주식을 2% 더 담는 펀드에 공모주를 차등 배정하는 내용의 새로운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IPO에서 공모주 배정은 주관사 재량에 맡겨져 있어 어떤 식으로 차등을 둘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실제로 한국투자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은 하이일드펀드 설정액과 관계없이 회사별로 공모주를 균일 배분해 형평성 시비가 일어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일부 하이일드펀드가 공모주 한탕을 위해 제도를 악용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동양·하이 등 일부 자산운용사들은 신용등급이 낮은 한 증권사의 사모형 ELB에 펀드자산의 30%를 투자하면서 편법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석민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