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멜라토닌 특징, 수면과 깊은 연관 있어 ‘우울증-불면증에도 영향’
입력 2015-04-10 11:30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이수영 인턴기자]
멜라토닌 특징은 무엇일까.
멜라토닌은 생물학적인 반응의 주기와 관련된 분자로, N-아세틸-5-메톡시트립타민으로도 알려져 있다.
포유동물에서 멜라토닌은 뇌에 존재하는 송과선으로부터 합성돼 혈액으로 분비된다. 생체 리듬을 조절해 우리 몸이 밤에 잠들게 해준다. 합성량이 너무 많거나 오랜 시간 생체 내에 작용하면 우울증이 발생하고, 반대로 합성량이 적으면 불면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멜라토닌은 트립토판으로부터 유래돼 만들어지며, 골수세포 림프구 상피세포와 같은 곳에서 합성되기도 한다.

멜라토닌은 보통 어두울 때 분비가 되는 특징을 나타내므로 밤의 호르몬이라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멜라토닌은 광주기성과 같은 서캐디안 리듬을 조절한다. 광주기성은 동물에서 나타나는 변화로 낮의 길이 변화에 따라 이들 동물들의 생리적 변화가 유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인간에서는 멜라토닌에 의해 조절되는 광주기성이 크게 나타나진 않지만 일상적인 생활리듬 조절과 같은 생물학적 조절 현상이 나타난다.
한편 밤에 어깨 통증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은 멜라토닌이 될 수 있다. 멜라토닌은 체내 호르몬으로 어깨 통증의 주원인이 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자극하는데 주로 밤에 분비되기에 야간 통증이 상대적으로 심하다.
어깨는 우리 신체 중 움직임이 많은 관절 중 하나로 질환에 노출되기 쉬우며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회전근개파열, 어깨충돌증후군, 석회화건염 등 다양한 어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오십견은 어깨관련 질환으로 병원을 가장 많이 찾는 질환 중 하나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 주위 연부 조직의 염증성 변화로 발생하며 1~2년 정도 지나면 자연 치유 되는 경우가 대부분. 어깨 전체 통증과 팔이 잘 올라가지 않는 등 운동 제한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멜라토닌 특징, 수면이랑 연관있구나” 멜라토닌 특징, 나 불면증인데” 멜라토닌 특징, 신기해” 등의 반응을 보였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