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형 도시재생에 1조3천억 지원
입력 2015-03-09 17:12 
서울시가 1조3000억원의 예산을 들여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27곳을 지원한다.
시투자기관인 SH공사는 재생사업 실행 전문기관으로 지정돼 시와 별도로 1조원 이상을 재생사업에 추가로 투자해 장기적으로 서울시내 전역의 주민이 참여하는 '도시재생운동'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발표했다. 서울형 도시재생의 원칙과 실행계획을 담은 최초의 종합계획이다.
관심은 선도지원지역이다. 시는 당초 각지에서 진행되던 재생사업을 4개 유형으로 구분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선도지역 27곳을 선정했다. 이들 지역을 1단계 도시재생사업으로 집중 추진하고 시범모델을 주변 지역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대상지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쇠퇴·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7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 총 4개 유형 27곳이 선정됐다.

세운상가 일대, G밸리, 장안평 중고차 매매단지 일대 등은 '쇠퇴·낙후 산업지역'으로 지정됐다. 산업 재편 과정에서 활력이 저하된 곳으로 기존 산업 생태계를 유지하면서 지역을 살릴 방안을 모색한다. 용산전자상가와 온수산업단지 등 준공업지역에 대해서는 기본계획 수립 후 점진적으로 재생을 추진한다.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은 역사자원, 자연자원과 근·현대산업 유산이 남아 있어 지역 자원을 보전하면서 관광명소로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한 지역이다. 세종대로 일대, 마포 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당인리 발전소 등 7개 지역 재생이 우선 추진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철도역 등이 있어 과거 중심지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시설이 쇠락한 곳들이다. 입지적 장점을 살려 지역 중심지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이 모색된다.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개소가 우선 추진되고 홍릉연구단지, 옛 국립보건원 등 대규모 공공기관 이적지도 같은 재생 전략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노후주거지역' 대상 재생사업에는 가장 많은 1조31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1단계 선도지역으로 선정된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 지역과 해방촌 등 12곳 외에 노후주거지 재생 기반 시스템 구축에도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는 갈등의 골이 깊어 추진이 어려운 기존 뉴타운·재개발지에는 맞춤형 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추진이 가능한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융자 금액을 확대하는 등 공공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SH공사는 재생사업 실행 전문기관으로 지정돼 재생사업에 추가적으로 1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이승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