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 선정
입력 2015-03-09 13:57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사업 대상지(27개소) 위치도 [출처: 서울시]
서울시가 향후 도시재생의 추진 모델이 될 27개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 지역을 선정하고, 이들 지역에 1단계 도시재생사업을 집중 추진한다.
27개 선도 지역에는 민간투자 촉진 및 통합적 계획수립, 공공 인프라 구축을 위해 오는 2018년까지 예산이 우선 투자되며, 기존의 전면철거 방식이 아닌 전과정에 주민이 주축이 되는 '맞춤형 정비방식'이 도입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도시재생 종합플랜'을 9일 발표했다.
종합플랜은 지역 특성과 지속가능성 등을 고려해 27개 선도 지역을 △쇠퇴·낙후 산업지역(3개소) △역사·문화자원 특화지역(7개소)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5개소) △노후주거지역(12개소) 등 4개 유형으로 나눠 선정했다.

우선 쇠퇴·낙후 산업지역은 한때 성장을 견인했으나 산업재편과정에서 활력이 저하돼 기존생태계를 유지하면서 활로 모색이 필요한 곳이 대상이다.
1단계 사업 대상은 세운상가 일대, G-밸리(Valley), 장안평 중고차 매매단지 일대 등 3개소이며, 이들 지역은 소유주·영세상공인과의 거버넌스 체계 유지, 기반시설 정비 등 사업 투자와 함께 소상공인 보호대책이 추진될 방침이다.
역사·문화자원지역은 1단계 사업 대상으로 세종대로 일대, 마포석유비축기지, 노들섬, 남산예장자락, 당인리 발전소, 낙원상가·돈화문로, 돈의문 일대 등 7개 지역이 선정됐으며, 삶의 흔적이 담긴 지역자원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개발로 훼손돼 지역자원을 보전하면서 관광명소로써의 활성화 방안 모색이 필요한 지역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 지역은 주변 자원과의 관광루트 연계 강화를 통해 지역을 명소화하고, 나아가 광장시장·방산시장 등 고유한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도심지역 전통시장 일대 등도 재생을 추진한다.
저이용·저개발 중심지역은 과거 철도역 등 성장을 견인했으나 지역발전 저해시설로 전락돼 지역단절을 극복하면서 중심지 기능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한 곳이 대상이다.
1단계 사업으로 서울역, 창동·상계, 영동 MICE, 광운대역, 상암·수색 등 5개소를 우선 추진하고, 미래발전 차원의 마스터플랜을 선행해 관련 당사자간 통합적 협업 체계 유지, 민간의 투자촉진을 위해 공공에서 선도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노후주거지역은 보편적인 공공지원시스템을 구축해 관리하는 한편, 기존의 획일적인 재개발·재건축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개념의 통합 재생모델을 정립해 뉴타운 해제지역 등 12개지역을 1단계로 선정, 재생사업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시는 △창신·숭인, 가리봉, 장위동 등 뉴타운 해제지역 △성곽마을, 백사마을, 해방촌, 북한산주변, 서촌, 암사1동, 성수1·2가동, 신촌, 상도4동 등 지역특성관리지역 12개소를 1단계로 추진하고, 아울러 기 추진중인 주거환경관리사업에 대해서도 이러한 새로운 모델로 전환해 나가기로 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말까지 총 239개의 뉴타운을 해제했으나 추진주체가 있는 343개 구역은 아직도 갈등이 상존하고 있어 이런 구역에 대해 △추진가능구역은 융자금액 확대 등 공공 지원 강화 △갈등정체구역은 코디네이터 파견 통해 갈등해소 지원 △추진곤란구역은 비용증가, 갈등증폭 방지위한 특별대책 강구 등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또한 선도사업을 위해 4년간 1조3천억을 투자키로 하고, 구체적인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수립 등을 통해 기반시설 등 필요한 사업을 발굴, 관련부서간 협업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시투자기관인 SH공사에 대해서는 재생사업 실행을 위한 전문기관으로 지정하고 시와 별도로 재생사업에 추가적으로 1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