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M+연예 사(思)] ‘토토가’에 치이고, 그래미에 까이고…2015년 가요계
입력 2015-02-10 11:17  | 수정 2015-04-03 15:20
[MBN스타 유명준 기자] 지금 우리나라에는 들을만한 음악이 더 이상 나오질 않는다.”

엄청난 내공을 자랑하는 음악평론가나 기자의 말도 아니고, 가요계 종사자의 말도 아니다. ‘평범하게 90년대에 대학을 다니고, ‘평범하게 직장생활을 하는 어느 지인이 술자리에서 한 이야기다. 그리고 그 자리에 있던 비슷한 세대의 취객(?)들이 맞장구를 쳤다. 이 평범한 직장인들의 입에서 이런 뜬금없는 음악 이야기가 나온 이유는 그 술자리에 90년대 노래가 흘러나왔기 때문이다.

위의 취객(?)들의 입을 빌리지 않더라도, 종종 주변에서 지금 들을만한 음악이 없다”는 말이 들린다. 그러면서 이들의 입에는 조용필, 김광석, 이문세, 신승훈, 신해철 등 80~90년대 최정상에 섰고, 지금도 ‘레전드로 남아있는 가수들이 바로 언급된다. 그러나 사실 ‘들을만한 음악이 없다는 말은 ‘거짓이다.

지금도 수많은 노래가 쏟아지고, 그 안에 보석 같은 노래들이 반짝이고 있다. 그러나 대중들이 음악을 접하는 플랫폼은 지상파나 케이블 등의 방송에서 틀어주는 몇 곡, 멜론이나 소리바다 같은 음악 사이트의 순위 100위정도, 그리고 포털 사이트 앞에서 프로모션으로 진행되는 몇몇 노래들뿐이다 보니 그 보석들을 쉽게 찾지 못한다.

라디오도 마찬가지다. 어느 순간부터 ‘좋은 노래를 발굴해 청취자들에게 전달하기보다는, 현 유행곡이나 시청자들이 요청하는 곡 위주로 방송하다보니, 새로운 노래를 들을 기회가 없다.

문제는 그 ‘들을만하지 않은 노래라 칭해지는 다수가 아이돌 노래로 향한다는 것이다. ‘소비성 세대에 맞춘 소비성 노래 ‘노래보다는 이미지에 치중한 노래 ‘한방에 뜨기 위해 만든 프로모션용 노래라는 갖가지 혹평이 뒤따르기도 한다. 안타까운 것은 잘 만든 노래도 아이돌 혹은 아이돌 멤버가 부르는 순간, 이 범주 안에 자연스럽게 들어가 버린다는 점이다.

결국 노래를 찾기 힘들고 보이지 않기에, ‘들을 노래가 없다고 한탄하는 이들은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으로 돌아갔다. ‘무한도전-토토가(이하 ‘토토가)의 열풍은 여기서 시작된다.


사실 ‘토토가에 나온 노래들도 그 당시에는 아이돌 노래이고, 어린 가수들이 부른 노래임에도 불구하고, 현 시점에서는 전혀 다른 평가가 이뤄진 것이다. ‘추억의 힘이라고밖에 달리 해석할 길이 없다. 역으로 이야기하면, 지금의 노래가 대중들에게 추억을 심어줄 만큼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결국 ‘토토가를 들은 대중들은 현 가요계에서 나오는 음악들을 외면한다.

여기에 한국시간으로 9일 오전 10시 열린 제57회 그래미 어워드 (Grammy Award) 역시 이런 가요계를 하향평가 시켰다. 단정해 말하면 왜 우린 저런 노래가 없냐” 왜 우린 저런 시상식이 없냐”는 질타가 쏟아진 것이다. 다양한 세대는 물론 전 세계인의 마음까지 휘어잡는 그래미 어워드에 대한 부러움과 질투라기보다는 답답함일 것이다.

가요 시장이 다르고, 역사가 다르다고 고개를 돌려봐도 이는 면피성 행동일 뿐이다. 환경이 더 안 좋았던 80~90년대 ‘가요톱텐을 거론하며, 그 당시 차트가 더 공정했다며 그리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트로트 가수부터 아이돌그룹까지 나와 경쟁했던 ‘가요톱텐에서의 1위는 굉장히 영광스러운 자리였고, 국민들의 인정을 한 몸에 받았다.

어떻게 보면 ‘음악보다 ‘산업 ‘사업에 초점을 맞춘 흐름이 ‘추억 ‘감성이라는 단어보다는 ‘소비라는 단어를 더 앞세우게 했으며, 이 같은 과정의 결과가 ‘토토가를 부르게 하고, 그래미를 부러워하는 현실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싶다.

여기서 그 대안이나 대책을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다. ‘세대가 공감하는 음악을 만들자 ‘음악계에 더 투자하도록 하자 ‘모든 음악 시상식을 통합하자 ‘공정한 차트를 만들자 등의 주장은 지속적으로 나왔지만, 각 단체와 개인 그리고 방송사의 이익과 경쟁 등으로 ‘지속적으로 흐지부지되곤 했으니 말이다.

그러나 분명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시점인 것은 분명하다. 이 상황이 지속되면 ‘현 가요계를 소비해야할 세대의 대중들은 지속적으로 ‘추억의 음악만 먹고 살 것이고, ‘현 가요계의 수준은 해외 시상식이 열릴 때마다 꾸준히 비교되면서 ‘B급 문화인양 취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명준 기자 neocross@mkculture.com / 페이스북 facebook.com/you.neocross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