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암수술후 유방재건술 부작용없이 한다
입력 2015-02-09 11:09 

유방암 수술을 받은 여성들은'여성의 상징'을 잃었다는 상실감 때문에 유방재건술을 대부분 고려하게 된다. 유방 재건술은 실리콘 등을 재료로 하는 보형물을 가슴 부위에 삽입해 절제된 조직 대신 유방의 모양을 유지시켜 주지만 적지 않은 부작용이 발생한다. 대표적인 부작용은'구형 구축(Capsular Contracture)'이다.
구형 구축은 이물질이 우리 몸에 들어오면 주변에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피막이 과하게 형성되어 딱딱하게 굳는 것을 말한다. 수술 후 가슴을 만져보았을 때 딱딱한 촉감이 느껴지고 모양이 변형되거나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부작용을 의심해야 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비율은 9~11%로 유방재건술 환자 10명 중 1명꼴로 이러한 합병증을 겪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성형외과 허찬영 교수팀은 가슴성형수술 후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작용인'구형구축'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탑재한 보형물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방 보형물을 삽입하면 혈액 중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형질전환생장인자-베타(TGF-β;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라는 물질을 분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염증증상이 발생하는 보형물 주위에 단핵구(Monocyte)를 불러모으는 역할을 하는데, 단핵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염증 부위에서'대식 세포(Macrophage)'로 분화하여 다시'TGF-β'를 분비한다. 이것은 결국 염증 부위의 섬유화(딱딱하게 굳는 현상)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합성된 콜라겐은 구형 구축을 발생시킨다.

허찬영 교수팀은 연구를 통해 초기 혈소판에서 TGF-β를 억제시키는 것이 주효하다고 판단하고'트라닐라스트(Tranilast)'라는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염증 반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실험 결과 트라닐라스트는 혈소판 TGF-β의 활성화를 억제시키고, 이는 단핵구의 수를 직접적으로 감소시켰다. 이후 단계적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대식세포 분화는 줄어들고, 보형물 주변부위에 발생하는 섬유모세포 활성은 억제됐다. 결국 합성되는 콜라겐이 크게 감소됐고, 이는 구형 구축을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트라닐라스트의 효과가 입증되자 연구팀은 더 큰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PLGA(Poly Lactic-co-Glycolic-Acid) 중합체를 사용한 보형물에 트라닐라스트를 탑재하는 경우 장기적으로 약물이 방출되고, 구형 구축을 더 크게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허찬영 교수는"추가적 약물 투입 없이 가슴성형의 부작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보형물이 세계 최초로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며 "까다롭고 객관적인 검증과정을 거친 만큼, 많이 활용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저명한 의학 저널(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