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제유가 반짝 급등에 원유 ETF 나흘새 17% 수익
입력 2015-02-04 17:02 

 지난해 4분기 이후 급락했던 국제 유가가 불과 일주일 만에 20% 안팎 반등하면서 연초 저가 매수에 나선 관련 투자자들이 모처럼 만에 활짝 웃었다. 다만 유가하락으로 손실 구간으로 접어든 원유 파생결합증권(DLS) 투자자들의 경우 원금손실에서 벗어나려면 유가가 지금보다 50% 가량 더 올라야 해 여전히 울상이다. 전문가들은 원유를 둘러싼 수급상황이나 국제정치적 역학관계에 대한 우려가 본질적으로 해소되지 않은 상황인 만큼, 큰 폭의 추가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원유선물(H)' 상장지수펀드(ETF)는 이날 시장에서 전일 대비 5.09% 오른 5885원으로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달 29일 종가(5045원) 대비 4거래일 만에 16.7% 상승한 것이다. 이 ETF는 미국 서부텍사스산(WTI) 원유 선물가격을 지수화한 'S&P GSCI 원유 인덱스'를 기초자산으로 추종한다.
 지난달 중순 배럴당 40달러대 중반까지 곤두박질 쳤던 국제 유가는 최근 4거래일 연속 반등을 이어가고 있다. 3월 인도분 WTI유 선물은 지난 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배럴당 3.48달러 오른 53.05달러, 런던 ICE 선물시장에서 3월 인도분 북해산 브렌트유는 배럴당 3.16달러 오른 57.91달러까지 상승했다.
 1월 중 최저가 대비 WTI유는 19.4%, 브렌트유는 24.3% 각각 오른 것이다.

 덕분에 유가 반등을 노리고 지난 달 원유 관련 펀드에 돈을 넣는 투자자는 환호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55개 원자재 펀드는 지난 3일 기준 하루 평균 3% 상승했고, 4일 기준 유가 상승분이 반영되면 수익률이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올해 들어 원자재 펀드에는 3800억원 가량의 저가매수 자금이 몰리면서 누적 설정액이 1조4100억원 규모로 커졌다.
 반면 원유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된 DLS의 경우 아직 원금손실에서 벗어나려면 갈 길이 멀다. 원유 DLS는 미상환 발행잔액 1조3800억원 가운데 3분의 2인 약 9000억원 규모의 상품이 이미 '녹인(Knock-In; 원금손실 기준)' 구간으로 접어들었고, 예상 손실가능액은 5000억원에 달한다.
 원금비보장형 DLS의 경우 통상 녹인 조건은 발행 기준가의 45~60%, 만기 수익상환 조건은 발행 기준가의 75~85% 수준이다. 미상환 DLS의 평균 발행 기준가격은 WTI의 경우 배럴당 100달러, 브렌트유의 경우 배럴당 110달러다. 따라서 녹인이 발생한 DLS라면 WTI유 기초 상품은 배럴당 80달러, 브렌트유 기초 상품은 배럴당 88달러까지 상승해야 수익상환이 가능하다. 현재 유가에서 WTI유는 51%, 브렌트유는 52% 더 올라야 원금손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셈이다.
 지난해 4월17일 약 5억원 규모로 발행돼 같은해 12월1일 가장 먼저 원금손실 구간에 접어든 '삼성증권 DLS 729호'는 WTI유 가격이 배럴당 104.30달러에서 발행됐다. 만기인 올해 10월15일 기준 WTI유 값이 배럴당 88.65달러 이상으로 올라야 원금손실에서 벗어나 연 9.12%의 수익상환이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유가가 배럴당 45달러 선에서 바닥을 확인했고 최근 미국 셰일 원유 신규투자 감소로 반등에 성공하긴 했지만 당장 큰 폭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유경하 동부증권 원자재 담당 연구원은 "원유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원유시장의 헤게모니를 쥐고 있는 3대 주체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미국 러시아 간 감산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며 "본격적인 감산 논의가 이뤄지기 전까지 브렌트유 가격은 배럴당 50~55달러 내외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재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