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외환은행간 조기 통합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합병기일이 또 다시 연기됐다. 당초 목표로 했던 2월 1일에서 한 달씩두 차례 연기된 상태다. 이에 따라 양 은행간 조기합병에 따른 그룹차원의 시너지 효과가 상쇄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하나금융지주는 29일 하나은행과의 합병기일을 4월 1일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조기 통합을 위한 주주총회 예정일은 2월 27일이다.
하나금융은 금융위원회의 하나·외환은행 합병 예비인가 일정에 맞춰 이날 합병 주총을 개최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금융위가"실무적으로 좀 더 논의가 필요하다”며 예비 승인 안건의 정례회의 상정을 다음달 11일로 미루면서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다.
앞서 외환은행 노조는"두 은행의 조기통합 자체가 부적절 하다”고 주장하며 하나금융과 외환은행을 상대로 ▲합병인가 신청 ▲합병관련 주주총회 ▲하나은행과의 직원간 교차발령 등 2.17 합의서 위반행위의 잠정적인 중지명령을 요구하는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했다.
노조 관계자는"하나금융이 경영실패의 책임을 반성하지 않고 외형 확대에만 중점을 두고 조기통합을 추진하고 있다”며"모뉴엘사태와 KT ENS 사태가 조기통합에 법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김한조 외환은행장 등이 부실기업에 대한 대출허가로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관련 임직원 제재가 가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외환은행측은"모뉴엘 관련 해외 수출채권 매입거래는 2010년 9월부터 시작돼 김한조 행장의 기업그룹사업장 부임 이전부터 거래를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은행의 여신 취급 프로세스상 여신심사를 담당하는 여신본부와 마케팅본부 등이 별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사업그룹장의 단독 판단에 의해 여신지원이 가능치 않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업계 일각에서는 두 은행간 무리한 IT통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장낙환 전 삼성 SDS SIIE센터 전문위원은"10월 9일로 잡힌 IT통합안은 일정상 무리한 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주계약자 없이 진행되는 통합에 IT업계가 우려를 표하고 있는 것이다.
금융위 정례회의에서 하나은행과 외환은행 통합 예비인가 건이 상정되지 않음에 따라 관련 안건은 다음달 11일 정례회의에서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예비인가는 금융위가 법적 요건을 따져 신청서 접수 후 60일 이내며 이후 전산·운영·경영능력 등 세부사항을 심사하는 본인가는 신청서 접수 후 30일 이내에 이뤄진다.
하나·외환은행간 조기통합 추진은 외환은행의 급격한 수익성 악화가 발단이 됐다.
2011년 하나은행(1조207억원) 보다 높았던 외환은행(1조6220억원)의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3600억원 수준으로 곤두박질 쳤다. 이는 하나은행(6550억원)보다 낮으며 지방은행인 부산은행(307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외환은행의 강점인 외국환 부문까지 경쟁력이 상실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환은행의 외환수수료 수익은 2011년 2180억원에서 2013년말 1920억원으로 줄었다.
하나금융 측은 두 은행간 조기통합 시 연간 3000억원 정도의 불필요한 경비를 줄이면서 탄탄한 영업구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도 리테일과 PB에 강한 하나은행과 외환·해외 업무에서 강점을 보이는 외환은행이 통합한다면 영업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양은행간 조기 통합성공 시 전산관리·마케팅 등 상당한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며 "하지만 조기통합 작업이늦춰질수록 시너지 효과는 상쇄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매경닷컴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