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학교비정규직 파업, 일부 학교 급식 중단…피해 여전히
입력 2014-11-21 10:57 
학교비정규직 파업
학교비정규직 파업, 급식 중단으로 불편 여전히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 소식이 전해졌다. 일부 학교에서는 급식이 중단됐다.

학교비정규직 3개 노조의 연합체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학교비정규직 차별 해소를 요구하며 20∼21일 총파업을 벌이기로 합의했다.

지난 19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 따르면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 3개 노조 소속 조합원 6만여 명 가운데 2만여 명이 이번 총파업에 참가하기로 결의했다. 서울에서는 조합원 6천여 명 중 2천여 명이 파업에 참여한다.
 
이들 중 60∼70%가 유치원과 초·중·고교 급식실에서 근무하고 있어 파업 양일간 학교 급식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에서는 급식을 제공하는 초·중·고등학교 1천300여 개교 가운데 양일간 실질적으로 급식이 중단되는 학교는 80∼90개교 정도일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서울교육청은 최근 총파업에 대비해 학교급식 운영 대책을 마련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일선 학교에 발송했다.
 
공문에서 서울교육청은 파업 참가인원을 자체 확인해 당일 급식 실시 여부를 판단하고 파업 비 참가자만으로 급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경우 급식을 운용하도록 했다.


그러나 학부모 동원 등 대체인력을 투입하는 것은 금지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정부를 상대로 급식비 지급, 방학 중 생계보장 대책 마련, 근속인정 상한제 폐지, 3만원 호봉제 등을 요구해왔다.
 
파업에 참가하는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급식실 근무자 외에 교무보조, 전산보조, 사무·행정보조, 초등돌봄 전담사, 특수교육보조, 전문상담사 등 다양한 직책을 맡고 있다.

학교비정규직 파업 학교비정규직 파업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