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혈액형 궁합`과 `결혼`의 상관관계는?
입력 2014-10-18 10:12  | 수정 2014-10-22 10:35

혈액형 궁합. 믿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혈액형에 대한 만인의 관심과 과학적 논란이 상존하는 가운데 남녀의 혈액형에 대한 이색 통계가 발표됐다.
최근 결혼정보회사 듀오는 최근 3년간 결혼한 6000명(3000쌍) 회원의 혈액형을 표본 조사, 분석한 '성혼 부부의 혈액형 정보'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성혼 회원 6000명의 혈액형 분포는 'A형' 2057명(34.3%), 'B형' 1659명(27.7%), 'O형' 1644명(27.4%), 'AB형' 640명(10.7%)이다. 성별로 분석하면 전체 여성(3000명) 중 'A형' 1046명(34.9%), 'B형' 830명(27.7%), 'O형' 803명(26.8%), 'AB형' 321명(10.7%)이고, 남성(3000명)은 각각 1011명(33.7%), 829명(27.6%), 841명(28%), 319명(10.6%)이다.
전체 3000쌍 가운데 남성 'A형'과 여성 'A형' 커플은 350쌍으로 가장 많고, 남성 'O형'-여성 'A형'(296쌍), 남성 'B형'-여성 'A형'(293쌍) 커플이 그 뒤를 이었다. 남성 'AB형'-여성 'AB형' 커플은 총 34쌍으로 가장 적었다.

같은 혈액형끼리 만난 경우는 전체의 28%(839쌍)다. 동일 혈액형끼리의 조합은 'A형' 커플이 42%로 가장 많고 'B형' 커플(28%), 'O형' 커플(26%), 'AB형' 커플(4%) 순이다.
첨부된 '성혼 커플 3천쌍의 혈액형 조합' 표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혈액형과 상관없이 부부가 될 경우의 수이다. 부부 모두 A형일 경우의 수는 남자 A형이 1011명, 여자 A형이 1046명이므로 (1011/3000) x (1046/3000) x 3000=353쌍이다. 실제 부부 350쌍과 거의 일치한다. 다른 혈액형에서도 큰 차이가 없다. 혈액형 궁합에 대한 속설은 근거가 없는 셈이다.
또 남성 A형(1011명)이 혼인한 여성의 혈액형은 'A형'34.6%, 'B형'27.8%, 'O형'27.3%, 'AB형'10.3%로 전체 회원의 혈액형 비율(A형 34.3%, B형 27.7%, O형 27.4%, AB형10.7%)과 거의 일치한다. 다른 혈액형 결합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혈액형은 결혼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김승호 듀오 홍보 팀장은 "과학적으로 근거 없는 혈액형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섣불리 상대를 평가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며 "이성의 성격과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혈액형이 아닌 꾸준한 소통과 노력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매경닷컴 윤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