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연수익 '5억 6천만원'…"무슨 일 하길래?"
입력 2014-08-21 11:31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사진=MBN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연수익 '5억 6천만원'…"무슨 일 하길래?"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

작년 한해 소득이 가장 높았던 전문직은 '변리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인당 평균 연수입이 5억6,000만원에 이르는 변리사는 9년째 전문직 소득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새누리당 박명재 의원이 세무당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인당 평균수입이 가장 높은 직업은 변리사(5억5,900만원)였으며 변호사(4억900만원)와 관세사(2억9,600만원)가 그 다음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어 회계사(2억8,500만원)와 세무사(2억5,400만원), 법무사(1억4,700만원), 건축사(1억1,900만원), 감평사(6,900만원) 순이었습니다.


이는 부가가치세 신고납부액에 바탕을 두고 추산한 것으로, 대표적인 고소득 전문직으로 꼽히는 의사는 의료 용역이 부가가치세를 면세받고 있어 통계에서 제외됐습니다.

변리사는 전산통계가 시작된 2005년 이후 9년 연속으로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변호사와 관세사도 각각 2위와 3위를 9년간 한번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9년 평균으로 보면 변리사 연수입은 5억8,700만원이었으며, 변호사 3억8,800만원, 관세사 3억1,900만원, 회계사 2억6,300만원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무사 2억4,000만원, 법무사 1억3,400만원, 건축사 1억1,000만원, 감평사 9,400만원 등이 뒤를 이어 전체적인 순위는 지난해 순위와 동일했습니다.

그러나 9년간 1인당 평균 수입 대비 평균 부가가치세액 비율은 변리사(5.20%)와 변호사(6.76%)가 가장 낮아 돈은 많이 벌지만 부가세는 적게 내는 '역전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오히려 감평사의 수입 대비 부가세액 비율이 9.24%로 가장 높았습니다.

변리사와 변호사의 경우 외국법인과의 거래 등 부가세 영(0)세율을 적용받는 외화획득 사업소득 등이 많아 부가세액 납부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무슨 일하길래"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호사보다 연봉이 높네" "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연봉 어마어마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 '변리사 전문직 소득 1위' '변리사'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