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38조 저축銀 생존위한 변신
입력 2014-07-01 17:31  | 수정 2014-07-01 19:28
2011년 연이은 부실로 움츠렸던 저축은행업계가 대부업계ㆍ일본계 자금의 가세로 다시 달아오르고 있다. 대부업체와 일본 자본이 앞다퉈 저축은행을 인수하면서 기존에 시장을 주도하던 은행계ㆍ증권계 등과 경쟁하면서 대형화나 영업방식 변화를 유도하는 등 자산 규모 38조원에 달하는 업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1일 매일경제가 저축은행업계를 분석한 결과 대부업 계열 저축은행 자산이 9127억원에 달했다. 작년 9월 대부업체의 저축은행 인수가 허용된 후 1년도 안 돼 작성된 기록이다.
이와 함께 지난 1~3월 보고서를 기준으로 할 때 일본계 자본이 보유한 저축은행 자산 규모는 6조12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저축은행 자산(약 38조원)의 16%에 달하는 수치다. 3년 전만 해도 은행ㆍ증권 계열 저축은행이 시장을 주도하며 대부업ㆍ일본계 자본 저축은행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던 것과는 대조되는 판세다.
올해 저축은행업계의 두드러진 특징은 대부업체들 진출이다. 올해 들어 에이앤피파이낸셜그룹(러시앤캐시ㆍ최윤 회장)과 웰컴크레디라인대부(웰컴론ㆍ손종주 대표)를 주축으로 저축은행 시장에 뛰어들었다. 러시앤캐시는 예주ㆍ예나래저축은행을 인수해 이달 오케이저축은행(가칭)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웰컴론은 예성ㆍ해솔저축은행을 인수해 웰컴저축은행으로 탈바꿈시켰고, 충남에 있는 서일저축은행도 인수해 대형화 채비를 갖췄다.
일본 자본 계열 저축은행은 2년여 전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일본계 자본인 SBI는 작년 3월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을 인수해 현재 자산 규모로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을 탄생시켰다. 또 일본계 자본인 J트러스트는 2012년 미래저축은행을 인수해 친애저축은행으로 탈바꿈시킨 데 이어 최근 SC저축은행 매각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일본에서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0%로 제한돼 있어 일본계 자본이 한국 시장을 좀 더 수익성 있는 시장으로 보고 앞다퉈 진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축은행업계는 은행ㆍ증권 계열이 주도해왔으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으로 2011년 초부터 줄도산 사태가 벌어지면서 긴 동면에 들어갔다. 2011년 1월 이후 문을 닫거나 문패를 바꿔 단 저축은행이 50여 곳에 이를 정도다. 2010년 86조원에 달하던 저축은행업계 자산도 급감세를 면치 못했다. 하지만 대부업체들과 일본계 자본이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은행ㆍ증권 계열과 4파전 양상을 벌이게 됐고 서서히 시장이 기지개를 켜고 있다. 특히 이런 지각변동은 업계 영업방식 등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에는 강화된 규제 등의 영향으로 업체들이 제대로 활동을 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고객에게도 외면받게 되면서 지역 중심의 '조용한 영업'이 대세를 이뤘다.
하지만 일본계 자본은 저축은행의 '대형화'를 적극 진행하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전국적인 영업망을 갖추고 시중은행처럼 적극적으로 영업을 벌이고 있다. 또 J트러스트는 저축은행 여러 개를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대부업체들 가세는 '신용분석' 기술 향상이라는 효과도 내고 있다. 과거 저축은행은 저신용도 고객에 대한 분석을 제대로 하지 못해 일률적으로 법정 최고금리(34.9%)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대부업체들은 저신용도 고객에 대한 분석자료를 많이 갖고 있는 만큼 저축은행을 인수한 후에도 이 노하우를 적용해 영업에 나서면서 금리 등에서 기존 업체들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런 움직임에 대항해 신한저축은행 등 은행 계열 업체들은 모은행의 점포망이나 현금자동입ㆍ출금기(ATM) 등을 영업에 활용하는 방식을 만들어내고 있다.
[김규식 기자 / 송민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