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의 감정 상태가 직접 접촉 없이도 네트워크를 통해 '전염'된다는 점을 입증한 연구 논문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보고됐다.
실험은 페이스북 사용자 수십만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변량도 정확히 통제해 신빙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감정 관련 데이터를 다루는 데 따른 윤리적 문제도 제기됐다.
29일(현지시간) PNAS에 따르면 페이스북 코어 데이터 사이언스 팀의 애덤 크레이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주립대의 제이미 길로리, 코넬대 커뮤니케이션학부와정보과학부의 제프리 핸콕 등 3명이 '사회관계망을 통한 대규모 감정 전염의 실험적 증거'라는 제목의 논문을 최근 이 저널에 게재했다.
이 논문은 네트워크를 통한 대규모의 '감정 전이'가 이뤄진다는 실험적 증거를 제시했다. 특히 대규모의 통제된 실험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 실험의 실험참가자는 68만9003명으로 지난 2012년에 1주일간 실시됐다.
연구자들은 페이스북 사용자의 뉴스피드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감정을 담은 포스트가 제거될 확률을 10%∼90%의 범위에서 달리했다.
뉴스피드에 뜨는 포스트의 노출 확률과 빈도를 조절함으로써 '정서적자극'이라는 요소를 정량적인 변인으로 만들어 통제하고, 이것이 네트워크 차원의 감정 전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측정한 것이다.
그 결과 긍정적 포스트를 접하는 빈도가 감소한 사람들은 긍정적 포스트를 더 적게, 부정적 포스트를 더 많이 생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부정적 포스트를 접하는 빈도가 감소한 사람들은 긍정적 포스트를 더 많이, 부정적 포스트를 더 적게 게시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는 다른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표현한 감정들이 우리 자신의 감정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라고 연구자들은 해석했다.
또 사람들 사이의 직접 접촉이나 비언어적 신호(non-verbal cues)가 전혀 없이도 감정 전염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미국 포브스, 영국 디 인디펜턴트 등은 이번 연구의 연구 윤리에 대해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놨다.
페이스북이 사용자들의 감정을 조작했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페이스북의 홍보 담당자는 포브스에 "이 데이터는 특정 개인의 페이스북 계정과는 무관하며, 실험은 뉴스피드에 한정해 1주일간만 이뤄졌고 친구들의 타임라인이나 직접 메시지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우리는 페이스북에서 사람들이 보는 내용이 가능한 한 유용하고 흥미롭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