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해역과 가까운 곳의 등대 유인화(有人化) 사업 요청을 관계 당국이 묵살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지점인 진도 맹골수도에서 2㎞ 내에 있는 무인등대를 직원들이 상주하는 유인등대로 바꿨다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해수부는 지난 2009년 맹골수도 옆 맹골도리 소재 '맹골 죽도등대'를 애초 직원이 상주 근무하는 유인등대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무인화 시스템으로 바꿨다.
맹골수도는 조도면 맹골도와 서거차도 사이 해역으로 평소에도 물살이 거세고 해난사고가 잦은 곳이다.
지난 2002년부터 10년간 맹골수도 인근 해상에서 58건의 해난사고가 발생했다.
무인화 이전 맹골 죽도등대에는 등대장과 직원 3명 등 4명이 24시간 상주하면서 등대관리는 물론 선박 충돌사고 예방 등의 업무를 수행해 왔다.
하루에도 여객선, 화물선 등 수백 척이 통과하는 길목을 지키는 등대가 무인화 되자 어민들은 해수부에 유인화 전환을 요구했다. 선박 사고 위험 및 등대 고장시 보수작업 장기화 등을 지적했다.
어민들은 실제로 지난해 7월 해수부에 인터넷 민원을 통해 유인화를 요청했다.
지난해 12월에도 이장, 여객선 선장, 어촌계장 등 50명의 서명을 받아 진도군수 이름으로 등대 유인화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해수부는 지난 1월 17일 '등대지기 출·퇴근이 힘들고 예산 확보 문제 등으로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거부 의사를 담은 회신문을 보냈다.
어민들은 "죽도등대에서 세월호가 침몰한 사고지점은 2㎞가량 떨어져 있어 육안으로도 잘 보인다"며 "직원이 상주해 있었다면 항로 이탈 등 선박의 초기 이상 징후를 감지해 구조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펼쳐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전국의 유인등대 10여 곳을 무인화한지 얼마되지 않아 어민 요구를 곧바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