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1월 28일(06:03)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연초부터 상장사들의 유상증자가 급증하고 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이 사실상 금지되면서 연초 자금마련이 시급한 상장사들 자금조달 수요가 유상증자로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유상증자를 결정한 상장사 대부분이 재무위기를 겪고 있어 투자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달 들어 유가증권·코스닥 상장사들의 유상증자 결의 공시 건수는 모두 24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7건)에 비해 3.5배 증가한 수치다.
유상증자 증가세는 지난해 말부터 이어져 왔다. 2012년 12월 8건에 그쳤던 유상증자 결의 건수가 2013년 12월에는 31건까지 급증했다.
통상 시장에서는 유상증자 증감추이를 기업들 재무상태와 연결짓는다. 유상증자가 늘면 그만큼 재무구조 개선이 시급한 기업들이 많아진다는 해석이 일반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성장을 위한 투자 목적 유상증자도 있지만 대부분은 재무구조 개선이나 차입금 상환이 목적"이라며 "일반적으로 유상증자는 주가 급락을 동반하기 때문에 그만큼 물량부담을 안고서라도 급한 불을 끄려는 기업이 많다는 사실을 반증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최근 공시된 유상증자 면면을 살펴보면 시설투자 및 사업확장을 목적으로 한 곳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달에만 오성엘에스티, 케이피엠테크, 동양증권, STX 등이 출자전환 또는 기업회생절차를 위해 유상증자를 결정했으며 최근 사업분기 적자에 따라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상장사는 13곳에 달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업의 재무상태 악화보다는 분리형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 금지를 유상증자 급증의 주요인으로 꼽는다. 자금조달 측면에서 유상증자보다 각광받던 BW가 지난해 9월 자본시장통합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사실상 금지되면서 유상증자, 전환사채(CB) 등 다른 주식연계형채권 발행으로 옮겨갔다는 설명이다.
한 증권사 기업금융팀 관계자는 "워런트 분리 매각을 통해 최대주주 지분 확보 또는 경영권 방어가 가능했기 때문에 개정 자통법 시행 전만 해도 BW 발행이 선호되는 추세였다"며 "기업들 재무상태는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BW수요가 유상증자와 전환사채 쪽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실제로 지난해 1월 BW 발행공시는 모두 12건으로, 유상증자 건수와 합하면 올해 유상증자 건수와 큰 차이가 없다.
일반 투자자들에겐 신주를 확보할 기회가 많아졌지만 투자에는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관계자는 "유상증자 증가 추세가 당분간 지속됨에 따라 공모 방식 유상증자도 늘어날 것"이라며 "사모가 주를 이뤘던 BW에 비해 투자자들이 싼값에 신주를 확보할 기회는 늘었지만 기업의 성장성과 재무상태를 고려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용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