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동일본 아니지만 내용은 같아"…다시보는 회의록
입력 2013-10-02 20:00  | 수정 2013-10-02 20:53
【 앵커멘트 】
검찰이 봉하마을 이지원에서 찾아낸 회의록 사본은 국정원이 공개한 회의록과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그렇다면, 앞서 국정원이 공개한 회의록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이준희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지난 6월 국정원의 전격 공개 결정으로 세간에 알려졌습니다.

회의록에는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007년 10월3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246분 동안 나눈 대화가 담겨 있습니다.

두 정상은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폭넓은 논의를 했지만, 가장 논란이 컸던 부분은 서해 북방한계선, NLL입니다.

김 위원장은 북한이 주장하는 군사경계선과 남한이 주장하는 북방한계선 사이의 수역을 공동어로구역이나 평화 수역으로 설정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고,

노무현 대통령은 이에 대해 "NLL은 바꿔야 한다"면서 "NLL이 무슨 괴물처럼 함부로 못 건드리는 물건이 돼 있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포기'라는 발언을 직접 쓰지는 않아 수많은 해석을 낳았습니다.


주한미군 관련 발언과 저자세 논란도 뜨거운 감자였습니다.

노 대통령은 주한미군에 대해 주둔 비용이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수도 한복판에 외국군대가 있는 것은 나라 체면이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또, 외국 정상들의 북한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을 자신이 북한의 대변인이나 변호인 노릇을 했고, 때로는 얼굴도 붉혔던 일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김 위원장이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문만 열어놓는다면 미국이 이에 상응한 조치를 속도 내서 취하도록 계속 재촉할 것이라고 말해 북의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MBN뉴스 이준희입니다.[ approach@mbn.co.kr ]

영상편집 : 원동주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