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NLL] 2007 정상회담 회의록이 2개인 이유
입력 2013-07-03 20:00  | 수정 2013-07-03 21:06
【 앵커멘트 】
2007 남북정상회담 자료가 대화록, 회담록으로 불리지만 공식 용어는 회의록입니다.
이 회의록 원본은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관에 잘 보관돼 있습니다.
문제는 국정원이 하나 더 갖고 있다가 공개하면서 일이 더 커진 건데요.
왜 대통령 관련 기록물이 두 개가 만들어졌을까요.
박호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2007년 10월 3일 남북정상회담 당시 조명균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배석합니다.

안 비서관은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단독회담 내용을 메모하면서 동시에 녹음했습니다.


회담 후 국정기록비서관실에서 녹음된 내용을 들어보니 상태가 좋지 않아 잡음제거 장비를 갖춘 국정원으로 자료를 넘겼습니다.

국정원은 2008년 1월 녹취를 푼 뒤 문서 형태의 회의록 두 부를 만들어 청와대로 한 부를 보냈고, 별도로 한 부를 보관했습니다.

이후 노무현 대통령이 퇴임하면서 청와대에 있던 회의록을 국가기록원으로 보냈지만, 국정원에 있던 회의록은 국정원이 계속 관리하도록 했습니다.

대통령기록물관리법에 따라 대통령도 함부로 기록물을 열람할 수 없기 때문에 차기 대통령이 남북대화를 할 때 국정원 회의록을 참고해 전략을 짜라는 배려였습니다.

다음 정부를 위해 국정원에 있던 회의록을 국가기록원에 보내거나 폐기하지 않았던 게 'NLL 논란'의 불씨가 된 겁니다.

국정원이 보관한 회의록은 처음엔 1급 기밀문서였는데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뒤 2009년 3월 2급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안보단계가 낮아진 회의록을 지난달 남재준 국정원장이 다시 일반문서로 분류해 공개하면서 NLL 논란이 증폭됐습니다.

MBN뉴스 박호근입니다.

영상편집:윤 진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