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내일 노무현 대통령이 중국을 방문해 후진타오 주석을 만납니다.
미국과 북핵 대응방침을 달리하고 있는 중국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청와대 연결합니다. 박종진 기자..
지금 송민순 안보실장이 한중회담과 관련 기자회견을 막 시작했는데요
미일중 등 주변국들이 북한 핵실험 후 사태 수습을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이 내일 베이징을 방문합니다.
노 대통령의 방중은 핵실험 이전부터 예정된 것이었지만 극도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북한과 미국 사이의 유력한 중재자인 중국을 방문하는 것이어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어떤 해결의 실마리가 제시될 지 주목됩니다.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 직후 북한과 접촉해 핵실험을 강행한 의중과 속내를 파악한 것으로 보입니다.
류젠차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핵실험 다음날인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 핵실험 후 6자회담 당사국들과 접촉하며 의견을 나누었다고 말해 이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탕자쉬안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워싱턴으로 급파한 것은 북한의 입장을 미국에 전달함으로써 양자 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북한 핵실험으로 불거진 사태를 어떻게 수습할 것인지에 대한 한.중 양국의 방안은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정 수준의 제재와 함께 대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양국의 인식은 일치합니다.
후진타오 주석은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관련국들에 촉구했습니다.
류젠차오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무력 제재에 반대했고 왕광야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적절한 수준의 징계'를 안보리에 제안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가지고 있는 해법도 근본적으로 중국의 시각과 함께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어제 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 초청 간담회에서 대화와 제재 병행론을 제시했고 특히 제재의 수단으로 무력 사용의 배제를 강조했습니다.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방침의 개괄적인 방향이 읽히는 대목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유지해 온 대북 포용정책의 수정 압박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어 노 대통령이 후 주석과의 만남에서 이런 원칙적인 입장을 그대로 내보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핵무기가 자위수단이라는 북한의 주장에 일리가 있다고 했던 노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장의 명분으로 내세워 온 안보위협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대단히 과장된 것"이라고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말을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을 계기로 북핵 문제에 대한 상황인식과 접근법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있음을 함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점에서 북한 핵실험 직후 노 대통령이 대응조치로 밝힌 '전략적으로 조율된 조치'가 중국과의 조율을 통해 어떤 형태로 발전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미국과 북핵 대응방침을 달리하고 있는 중국과 어떤 이야기를 나눌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청와대 연결합니다. 박종진 기자..
지금 송민순 안보실장이 한중회담과 관련 기자회견을 막 시작했는데요
미일중 등 주변국들이 북한 핵실험 후 사태 수습을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이 내일 베이징을 방문합니다.
노 대통령의 방중은 핵실험 이전부터 예정된 것이었지만 극도로 혼란한 상황 속에서 북한과 미국 사이의 유력한 중재자인 중국을 방문하는 것이어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어떤 해결의 실마리가 제시될 지 주목됩니다.
중국은 북한의 핵실험 직후 북한과 접촉해 핵실험을 강행한 의중과 속내를 파악한 것으로 보입니다.
류젠차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핵실험 다음날인 지난 10일 정례 브리핑에서 북한 핵실험 후 6자회담 당사국들과 접촉하며 의견을 나누었다고 말해 이를 간접적으로 뒷받침했습니다.
중국 정부가 탕자쉬안 외교담당 국무위원을 워싱턴으로 급파한 것은 북한의 입장을 미국에 전달함으로써 양자 간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북한 핵실험으로 불거진 사태를 어떻게 수습할 것인지에 대한 한.중 양국의 방안은 아직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일정 수준의 제재와 함께 대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양국의 인식은 일치합니다.
후진타오 주석은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을 관련국들에 촉구했습니다.
류젠차오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무력 제재에 반대했고 왕광야 유엔주재 중국대사는 '적절한 수준의 징계'를 안보리에 제안했습니다.
우리 정부가 가지고 있는 해법도 근본적으로 중국의 시각과 함께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어제 민주평통 해외자문위원 초청 간담회에서 대화와 제재 병행론을 제시했고 특히 제재의 수단으로 무력 사용의 배제를 강조했습니다.
향후 우리 정부의 대응방침의 개괄적인 방향이 읽히는 대목입니다.
그러나 정부가 유지해 온 대북 포용정책의 수정 압박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어 노 대통령이 후 주석과의 만남에서 이런 원칙적인 입장을 그대로 내보일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핵무기가 자위수단이라는 북한의 주장에 일리가 있다고 했던 노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장의 명분으로 내세워 온 안보위협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거나 대단히 과장된 것"이라고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말을 했습니다.
북한의 핵실험을 계기로 북핵 문제에 대한 상황인식과 접근법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있음을 함축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런 점에서 북한 핵실험 직후 노 대통령이 대응조치로 밝힌 '전략적으로 조율된 조치'가 중국과의 조율을 통해 어떤 형태로 발전할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