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명동에서 절전은 남의 나라 얘기
입력 2012-06-11 17:50  | 수정 2012-06-11 21:40
【 앵커멘트 】
지난주 예비전력이 400만kW 이하로 떨어지는 등 수급에 비상이 걸렸지만, 생활 현장에서는 아직도 과소비가 여전했습니다.
일부 상가들은 문을 닫고 냉방을 해달라는 현장 계도 요원들의 요구에 반발 하기도 했습니다.
정성욱 기자입니다.


【 기자 】
전기 과소비의 대명사처럼 인식되고 있는 명동 상권을 정부가 다시 찾았습니다.

지난주 예비전력이 위험 수위까지 내려갔다는 사실이 남의 나라 얘기인 듯 대부분의 업소가 문을 열어놓고 냉방을 하고 있었습니다.

(문을 닫고 영업하셔야 합니다.)

(나가서 얘기하세요.)

(이러지 마세요. 업무 방해입니다.)


실내온도도 정부가 기준으로 정한 26도보다 낮은 24.5도를 가리켰습니다.

일부 상가는 계도 요원의 요청을 받아들여 문을 닫는 모습도 보였습니다.


출입문을 철거해서 열어둘 수밖에 없다는 일부 상인들의 말은 사실이 아닌 듯합니다.

정부가 이 같이 냉방에 신경을 쓰는 것은 여름철 냉방에 소비되는 전력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송유종 / 지경부 에너지절약추진단장
- "여름철 전력 수요의 21% 정도를 냉방 수요가 차지합니다. 실내 온도를 26도로 유지하는 거 하고 영업을 할 때 문 닫고 하는 게 아주 중요합니다."

최근 최대 전력 수요를 평균 6,500만kW로 보았을 때 20%는 1,300만kW에 해당하는 전력으로 냉방 온도를 조금만 높여도 원자력 발전소 하나를 쉬게 할 수 있습니다.

▶ 스탠딩 : 정성욱 / 기자
- "정부는 6월 한 달간 계도 기간을 거쳐 7월부터 위반 업소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MBN뉴스 정성욱입니다."

영상 취재: 전 범수 기자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