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저축은행 국조 특위, 금융 당국 부실 감독 추궁
입력 2011-08-03 10:11  | 수정 2011-08-03 11:20
【 앵커멘트 】
국회 저축은행 국정조사 특위가 금융 당국을 상대로 기관 보고를 받습니다.
저축은행 부실 사태에 대한 관리, 감독 책임을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상민 기자.


【 질문 】
아무래도 초점은 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금융 당국의 책임론에 맞춰지겠죠?

【 기자 】
네, 그렇습니다.

여야 의원들은 금융 당국의 정책 실패 부분을 집중 추궁할 예정입니다.

오늘(3일) 기관보고에는 김석동 금융위원장과 권혁세 금융감독원장 등이 출석합니다.


한나라당 간사인 차명진 의원은 "금융감독원이 이미 2005년부터 저축은행 부실을 밝혀내고도 묵인한 결과 지금의 화를 자초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미흡한 검사와 감독의 문제도 있었지만, 저축은행 정책이 금융위기 극복에 적지 않게 기여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어제(2일) 합의에 실패한 청문회 증인 문제도 다시 논의됩니다.

핵심은 현직 인사의 증인 채택 여부인데요.

야당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인 반면, 여당은 난색을 보이고 있습니다.

황우여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정치인과 청와대, 고위 공직자의 증인 추가 채택은 조심스러운 문제"라면서 "특위가 수사권이 없는 만큼 대책을 중점적으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총리와 청와대의 핵심 증인 없이 국정조사를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습니다.

청문회에 출석할 증인에게는 일주일 전에 통보해야 하기 때문에, 예정대로 10일부터 청문회를 하려면 오늘이 증인 채택 합의 마지노선입니다.

따라서 오늘까지 증인 채택이 이뤄지지 않을 때는, 청문회 일정이 축소되거나 경우에 따라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이상민입니다. [ mini4173@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