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방사선 오염' 첫 합동 대책회의
입력 2011-04-07 09:01  | 수정 2011-04-07 10:07
【 앵커멘트 】
일본 원전의 방사선 누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정부의 태스크포스 대책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관계부처가 모두 참여하지만, 당장 일본의 해상 방류를 막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강태화 기자.


【 기자 】
네, 외교통상부입니다.

【 질문 】
어제 정부가 부랴부랴 TF를 구성하기로 하고 첫 회의가 열리는데요. 이번엔 발 빠른 대응이 나올 수 있을까요?

【 기자 】
네, 잠시 전인 9시부터 총리실이 주관하는 관계기관 합동 대책회의가 열리고 있습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나오고 있는 방사능 오염 물질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는 자리입니다.


이 자리에는 국무총리실을 비롯해 외교통상부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문화관광부, 농림수산식품부 등 정부 내 유관부처 당국자가 모두 참석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관심은 일본이 바다에 버리고 있는 방사능에 오염된 물에 대한 대응인데, 회의에서 즉각적인 대책이 나오기는 쉽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정부 당국자는 "교육 과학기술부와 원전 관련 연구기관 등에서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한다는 구체적인 결과를 발표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면서, "아무런 근거도 없이 일본과 협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뒤늦게 범정부 차원의 대책회의가 꾸려졌지만, 지금까지 일본 원전사태에 대응하는 각 부처 간의 협업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국내 전문가 그룹에 의한 위험성 조사 결과는 방류가 거의 끝나가는 지금까지 공식적으로는 전혀 나온 게 없습니다.

이렇게 아무런 근거도 없이 일본에 대응하기는 어렵다는 게 외교가의 설명입니다.

일단 오늘 회의에서는 일본 원전 사고에 대한 현황을 듣고, 식료품 안전 대책과 국내 원전의 안전성 확보 문제 그리고 중장기 원전정책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당장 일본의 해상 방류를 막을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지금까지 외교통상부에서 MBN뉴스 강태화입니다.

[ 강태화 / thkang@mbn.co.kr ]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