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퇴출 직전 유상증자…감독 사각지대
입력 2011-03-28 17:29  | 수정 2011-03-28 17:33
【 앵커멘트 】
유상증자로 대규모 자금조달을 한 기업이 직후에 증시에서 퇴출 위기에 몰리는 일이 잇따라 벌어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도 문제지만, 주관 증권사나 금융감독당국도 이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면서 투자자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김진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최근 퇴출 위기에 몰린 코스닥 상장사 씨모텍 대표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면서 파문이 일었습니다.


특히 이 회사는 얼마 전 유상증자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탓에 투자자들은 큰 피해를 보게 됐습니다.

최근 대한해운과 LIG건설 등 유상증자와 기업어음으로 자금을 모아놓고 갑자기 위험한 상태에 빠져 투자자들을 울리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물론 해당 기업의 도덕적 해이가 가장 큰 문제지만, 이 기업의 유상증자나 전환사채 등을 주관한 증권사에도 비난의 화살이 돌아갑니다.

실적에만 급급한 주관사가 기업 실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증권업계 관계자
- "문제는 주관사들도 주관사 수수료가 많고 인수금액까지 있는 경우에는 수수료 수입이 상당하니까…."

금융감독당국의 책임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일반 기업인 증권사에는 기업을 조사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금융감독 당국의 승인절차가 보다 까다로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 인터뷰 : 증권사 관계자
- "실사는 외부감사처럼 권한이 없어요. 가서 미팅을 한다는 거에요. 외부감사와 권한이 완전히 다른 겁니다."

특히 10억 원 미만의 소액 유상증자나 전환사채 발행은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조차 없어서 무방비로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부실한 기업과 주관사, 금융당국의 책임 넘기기 속에서 투자자들의 피해만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진일입니다.
MBN APP 다운로드